바로가기 메뉴
본문 바로가기
푸터 바로가기
  • 서울대학교
  • 서울대포털
  • 입학포털
  • 증명발급
  • Home
  • Login

서울대학교 서울대학교 융합전공 지역·공간분석학전공

  • 전공소개
    • 인사말
    • 참여학과
    • 교육목표
  • 교육내용
    • 입학정보
    • 교육과정
    • 융합전공 과정이수
    • 개설교과목
  • 구성원
    • 교수진
    • 신진연구인력
    • 참여대학원생
  • 전공소식 · 연구
    • 공지사항
    • 세미나
    • 연구
    • NEWS
  • 관련링크
    • 농경제사회학부
      지역정보학전공
    • 이동가족학과
    • 국제농업기술대학원
    • 지리교육과
    • 건설환경공학부
  • BK21
    • 교육연구단 소개
      • 조직도
      • 참여교수
      • 신진연구인력
      • 참여대학원생
사이트맵
검색
  • 내부검색
  • 통합검색
TOP

 

박승규, & 김의준. (2019). 고령화로 인한 공적의료소비지원이 지역경제성장에 미치는 영향 분석. 한국지방자치학회보, 31(4), 79-103.

심정은, & 임미희. (2019). 외부 정보 탐색 전략이 혁신 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: 한국 중소기업을 대상으로. 중소기업연구, 41(2), 1-24.

심정은. (2019). 공급사슬 상에서의 환경세 면제 정책의 영향. 경영과학, 36(2), 21-37.

최나야, & 김세영. (2019). 싱가포르 거주 한인 가정 어머니들의 아동 이중언어 관련 기대와 인식. 가정과삶의질연구, 37(2), 207-220.

박윤현, 박지은, 김대웅, 서지연, & 최나야. (2019). 4 세 때의 전자매체 놀이시간과 초등학교 3 학년 때의 또래애착 간의 관계에서 수면시간의 매개효과: 잠재성장모형을 이용한 종단연구. 열린유아교육연구, 24(3), 317-338.

최지수, & 최나야. (2019). 초등 3 학년생의 디지털미디어중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탐색: 집행기능곤란, 화용능력, 행복감을 중심으로. 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, 19(13), 629-651.

노보람, 정정화, 최나야, & 이강이. (2019). 다문화청소년의 학교적응에 대한 외모만족도와 한국어능력의 종단적 영향 및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. Family and Environment Research, 57(3), 407-417.

안혜령, & 최나야. (2019). 정보의 직관부합성과 설명의 유형에 따른 유아의 정보 평가: 물리· 생물 현상에 대한 정보의 타당성. Korean Journal of Child Studies, 40(4).

Kiaer, J., Park, M. J., Choi, N., & Driggs, D. (2019). The roles of age, gender and setting in Korean half-talk shift. 담화와인지, 26(3), 279-308.

최나야, 조혜정, 강수정, & 서지연. (2019). 영어학습에 대한 유아의 흥미 및 불안 척도 개발. 유아교육· 보육복지연구, 23(3), 7-38.

← older
newer →
개인정보처리방침
찾아오시는 길
교육기관01
  • 교육기관01
  • 교육기관02
  • 교육기관03
학과02
  • 학과01
  • 학과02
  • 학과03
대학 · 대학원03
  • 대학 · 대학원01
  • 대학 · 대학원02
  • 대학 · 대학원03
whitelogo

08826 서울시 관악구 관악로1 서울대학교 융합전공 지역·공간 분석학 전공
T. 02-880-4740 F. 02-873-5080

COPYRIGHT (C)2024 RESSA, SEOUL NATIONAL UNIVERSITY. ALL RIGHTS RESERVED.

QUICK
MENU

중앙도서관
관악학생
생활관
글로벌 사회
공헌단
TOP