박윤현, 박지은, 김대웅, 서지연, & 최나야. (2019). 4 세 때의 전자매체 놀이시간과 초등학교 3 학년 때의 또래애착 간의 관계에서 수면시간의 매개효과: 잠재성장모형을 이용한 종단연구. 열린유아교육연구, 24(3), 317-338.
최지수, & 최나야. (2019). 초등 3 학년생의 디지털미디어중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탐색: 집행기능곤란, 화용능력, 행복감을 중심으로.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, 19(13), 629-651.
노보람, 정정화, 최나야, & 이강이. (2019). 다문화청소년의 학교적응에 대한 외모만족도와 한국어능력의 종단적 영향 및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. Family and Environment Research, 57(3), 407-417.
안혜령, & 최나야. (2019). 정보의 직관부합성과 설명의 유형에 따른 유아의 정보 평가: 물리· 생물 현상에 대한 정보의 타당성. Korean Journal of Child Studies, 40(4).
Kiaer, J., Park, M. J., Choi, N., & Driggs, D. (2019). The roles of age, gender and setting in Korean half-talk shift. 담화와인지, 26(3), 279-308.